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컴퓨터활용능력

[컴활1급 필기]컴퓨터일반 _ 컴퓨터 하드웨어, 중앙기억장치,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

안녕하세요, 온라인컴퓨터교육 컴띵입니다.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시험과목인 컴퓨터일반 이론 두번째시간입니다.

오늘은 컴퓨터 하드웨어중 중앙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팅보다 더 많은 부분이 시험에 나오기 때문에 조금 더 자세히 보시는게 좋습니다^^

 

 

컴퓨터 하드웨어

 

1. 중앙처리장치

 

-중앙처리장치 : 제어장치, 연산장치, 주기억장치로 구분된다.

래지스터 : 중앙처리장치(CPU)는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결과값 들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임시 기억장소.

   플립플롭(Flip-Flop) : 기억장치를 구성하는 전자회로, 1비트의 정보(0또는1)을 기억.

   래치(Latch) : 1비트 이상의 입력된 값을 다음 입력이 있기전까지 유지해주는 전자회로

 

-CPU의 처리능력 단위 및 용어

KIPS : 초당 실행되는 명령어의 수를 1,000단위로 표현

MIPS : 1초당 명령실행수 /1백만

FLOPS : 1초당 부동 소수점 연산 횟수

클럭(CLOCK) : 1초종안 CPU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를 의미.

클럭주파수 : 컴퓨터의 ON,OFF의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흐름을 말한다. 클럭주파수가 높을수록 속도가 빠름.

클럭속도(MHZ) : CPU를 동작시키는 클럭주파수의 속도

 

구분

CISC

RISC

구조

복잡함

단순함

명령어

많음

적음

전력소모

많음

적음

레지스터

적음

많음

처리속도

느림

빠름

프로그래밍

간단함

복잡함

용도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 제어장치 : 컴퓨터에 있는 모든 장치들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프로그램카운터,계수기(PC)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명령레지스터(IR) : 현재실행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래지스터

명령 해독기(Decoder) : 명령  래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독하는 회로

부호기(Encorder) :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회로

메모리주소 래지스터(MAR) : 기억장소의 주소를 기억

메모리 버퍼 래지스터(MBR) : 기억장치의 내용을 기억하는 래지스터

 

- 연산장치(ALU) :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실제로 산술 연산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누산기(Accmulator) : 연산된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가산기(Adder) : 2진수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

보수기(Complementor) : 뺄셈의 수행을 위해 입력된 값을 보수로 변환하는 회로

상태 레지스터(Statu Register) : 연산 수행시 발생되는 여러가지 상태값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 주소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터

 

 

2. 주기억장치

 

1. ROM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만 있는 읽기전용 메모리, 전원이 없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입출력시스템(BIOS), 글자 폰트(Font), 자가진단 프로그램 (POST)등의 펌웨어를 저장하는 장치.

종류 특징
Mask Rom 제조과정에서 미리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사용자는 변경불가능
PROM 정보를 한번만 기록할 수있음
EPROM 자외선(UV)을 이용해 여러 번 수정, 삭제 가능
EEPROM 전기적인 방법을 이영히여 여러 번 수정, 삭제 가능

 

 

2.RAM

자유롭게 읽고 쓸수 있는 기억장치. 전원이 나가면 사라지는 휘발성. 일반적인 주기억장치로 통용된다.

정보가 저장된 위치는 주소(Adress)로 기억된다.

구분 DRAM SRAM
구성소자 콘덴서 플립플롭
특징

전원이 공급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방전되므로 재충전이 필요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기억내용이 모두 유지.
전력 소모 적음 많음
접근 속도 느림 빠름
집적도(밀도) 높음 낮음
용도 일반적인 주기억장치 캐시메모리

 

 

3.보조기억장치

대량의 자료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 주기억장치에 비해 속도가 느리지만 용량이 크고 저렴하다.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다.

-하드디스크 : 대용량의 기억장치로 데이터접근속도 빠름. 충격에 약하고 이동이 불편함.

-자기테이프 : 순차적으로 자료에 접근할수 있고, 대용량을 저장할수 있어 데이터 백업용으로 사용된다.

-자기디스크 : 디스크에 자성물질을 입혀 데이터를 읽고 쓴다. 임의접근방식. 속도가 빨라 보조기억장치로 많이 사용됨.

 

자기디스크 관련 용어

트랙(Track)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섹터(Sector) 트랙을 일정하게 나눈 구간으로 정보 저장의 기본단위
실린더(Cylinder) 디스크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위치에 있는 트랙의 모임
헤드(Haed) 디스크 내의 자료에 대해 읽고 쓰기를 수행하는 장치
클러스터(Cluster) 여러 개의 섹터를 묶어놓은 것으로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는 논리적 단위
TPI(Track per inch) 인치당 트랙 수를 의미, 자기디스크의 기록밀도 단위.
FAT (File Allocation Table) 디스크에 저장된 각각의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할당 테이블
탐색시간(Seek time) 읽기/쓰기 헤드가 지정된 실린더에 도착하는 시간
검색시간(search time) 헤드가 원하는 자료가 위치한 섹터까지 찾아가는데 걸리는 시간.(회전대기시간)
전송시간(Trasmission time) 읽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보내는 시간
접근시간(Access time) 기억장치의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 (탐색시간+검색시간+전송시간)

 

 

-CD-ROM : 650MB정도의 데이터 저장가능, 한 면만 데이터 저장가능하며 읽기만 가능. 하드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용량이 적다.

CD-R : 데이터를 한면만 기록가능, Worm Disk라고도 한다.

CD-R/W : 최대 1000번까지 썻다 지웠다 할수 있는 장치, 패킷 라이팅의 기술을 이용.

CD-I : 대화형 CD, 오디오나 TV에 연결하여 멀티미디어 재생가능.

 

-DVD : 4.7GB~17G까지 데이터 저장가능. 양면에 데이터기록 가능, MPEG2의 확장자로 영상데이터를 고해상도로 사용가능.

DVD-RW : 여러번 데이터를 기록 및 삭제할 수 있는 DVD이다.

 

 

오늘은 컴퓨터 하드웨어 중 기억장치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도움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컴퓨터 온라인교육 컴띵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