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공인자격/ITQ & DIAT & E-TEST

[ITQ_엑셀]엑셀함수_INT함수/ 실수를 정수로 바꾸는 함수

 

 

 

안녕하세요, 온라인컴퓨터강좌 컴띵입니다.

 

어제 달콤한 휴일을 보내고 나니 무기력해지는 금요일입니다... 오늘같은날에는 밤새서 놀아야 아쉽지않는 날이지만, 아직 주말과 월.화요일이 남아있으니 오늘은 좀 편안하게 쉬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ㅎㅎ 낮에는 날씨가 좋더니 갑자기 돌풍과 비...가....ㅠㅠ

 

결국 집으로 와서 오늘도 어김없이 ITQ엑셀함수를 공부하는 컴띵이입니다.. ㅎㅎ 오늘은 수학함수 중 하나인 INT함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NT함수는 실수를 정수로 변경해주는 함수인데요,  범위가 넓은 실수에서 정수로 변경한다라..

 

말이 조금 어렵네요ㅎㅎ 바로 설명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물건을 대여하려고 합니다. 대여금액을 자신의 포인트로 결제할 경우 물건의 대여일수는 얼마나 될까요?

 

INT함수를 이용해서 대여가능일수를 계산하려고 합니다.  =INT를 입력하고 ctrl + A를 눌러 인수입력창을 열겠습니다.  역시나 INT함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합니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이제 INT함수에 대해 정확하게 개념을 잡을 수 있을것 같네요ㅎㅎ 말 그대로 하나의 실수를 원하는 값으로 나눈 뒤 소수점아래의 단위를 내림하여 정수만을 나타내 주는 엑셀함수입니다.

 

 

 

=INT(X3/AC3) 이렇게 입력합니다. 민주희씨의 포인트는 8425점. 하루 대여가격이 2000인 물건을 포인트를 사용하여 대여하려면 4일동안 대여가 가능하다고 나오네요^^

 

 

 

한번 더 함수를 입력해보도로 하겠습니다.

 

=INT(X4/AC4) , 엑셀프로그램이 알아들을수 있는 함수라는 언어로 조영달 씨의 포인트인 6571을 3000으로 나눈 후 정수를 알려달라고 적었습니다.

 

 

 

2라는 값 을 구했습니다. 나머지 값은 자동채우기를 이용하여 값을 구해보았습니다.

INT함수를 사용하여 구한 정수는 소수점 아래 숫자 자체가 없는 정수입니다.  단지 엑셀에서 소수점자리를 보여주지 않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INT함수를 사용할때 기억해 주시면 될듯합니다. ^^

 

즐거운 금요일에 비가 내리네요ㅎㅎ 세월호의 수색작업을 보며 속상한 것은 우리 국민들만은 아닌것 같습니다. ^^

이어지는 5일간의 휴일,  즐겁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온라인컴퓨터강좌 컴띵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